Damaged (블랙 플래그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amaged는 1981년 발매된 블랙 플래그의 데뷔 정규 앨범이다. 헨리 롤린스가 보컬로 참여했으며, 앨범 발매 당시 MCA 레코드의 유통 거부, SST 레코드와의 법적 분쟁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중 하나로 꼽히는 등, 펑크 록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앨범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1년 데뷔 음반 - Business as Usual
오스트레일리아 밴드 멘 앳 워크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인 Business as Usual은 "Who Can It Be Now?"와 "Down Under"를 포함한 히트 싱글들을 배출하며 여러 국가에서 정상을 석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상을 수상하고 전 세계적으로 천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 1981년 데뷔 음반 - Welcome to Hell
1981년 발매된 베놈의 데뷔 앨범 Welcome to Hell은 헤비 메탈, 펑크 록, 스피드 메탈의 요소가 혼합된 날것의 사운드와 쾌락주의, 사탄주의를 다룬 퇴폐적인 가사를 특징으로 하며 익스트림 메탈 장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Damaged (블랙 플래그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가수 | 블랙 플래그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장르 | 하드코어 펑크 |
레이블 | SST |
프로듀서 | 스팟 블랙 플래그 |
발매일 | 1981년 11월 |
녹음 장소 | 유니콘 스튜디오, 웨스트 할리우드, 캘리포니아 |
길이 | 34분 58초 |
이전 음반 | |
음반명 | Six Pack |
발매년도 | 1981년 |
다음 음반 | |
음반명 | TV Party |
발매년도 | 1982년 |
2. 배경
블랙 플래그는 키스 모리스, 론 레이예스, 데즈 카데나 등 여러 보컬을 거치며 첫 번째 EP 《Nervous Breakdown》 발매 이후 정규 음반 녹음을 시도했지만 최소 두 번 이상 취소되었다.[53] 레이예스가 참여했던 세션의 일부는 《Jealous Again》 EP로, 카데나가 참여했던 세션 중 두 곡은 《Six Pack》 EP와 〈Louie Louie〉/〈Damaged I〉 싱글로 발매되었고, 다른 세션의 아웃테이크들은 나중에 더블 앨범 《Everything Went Black》으로 구성되었다.[53]
녹음 당시, 카데나는 리듬 기타로 자리를 옮겼고[53], 20세의 워싱턴 D.C. 출신 헨리 롤린스가 세션 몇 주 전에 밴드의 새로운 리드 싱어가 되었다.[54] 롤린스는 스테이트 오브 어러트라는 밴드에서 활동하며 《No Policy》 EP를 녹음한 경력이 있었던 반면,[55][56] 레이예스와 카데나는 밴드 합류 이전에 스튜디오에서 노래를 부른 경험이 없었다.[53]
밴드는 롤린스 없이 반주를 녹음했고, 롤린스는 밴드 멤버 그렉 긴(기타)과 척 두카우스키(베이스)의 지도를 받은 후 보컬을 덧입혔다.[54] 가장 복잡한 보컬 트랙은 두카우스키의 〈What I See〉였는데, 롤린스가 만족할 만한 즉흥 연설을 생각해내지 못해 두카우스키가 직접 썼고, 〈TV Party〉는 밴드 전체가 백킹 보컬을 맡았다.
이 음반은 웨스트할리우드의 산타모니카 블러바드에 있는 유니콘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밴드는 세션 전에 유니콘 스튜디오가 입주한 건물의 다른 부분에서 거주하며 리허설을 했다.[54] 드러머 로보는 연주할 때 왼쪽 손목에 팔찌를 착용했는데, 특히 그가 스네어 드럼을 칠 때마다 덜컹거리는 소리는 사운드의 일부가 되었다.[54]
2. 1. 멤버 변화와 헨리 롤린스의 영입
블랙 플래그는 키스 모리스, 론 레이예스, 데즈 카데나가 보컬을 맡았던 첫 EP 《Nervous Breakdown》 발매 이후, 최소 두 번 정규 앨범 녹음을 시도했으나 취소되었다.[53] 레이예스가 참여한 세션 중 일부는 《Jealous Again》 EP로 발매되었고, 카데나가 참여한 세션 중 두 곡은 《Six Pack》 EP와 〈Louie Louie〉/〈Damaged I〉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다른 세션의 아웃테이크는 나중에 더블 앨범 《Everything Went Black》에 수록되었다.[53] 카데나는 녹음 당시 리듬 기타로 자리를 옮겼는데, 이는 레이예스가 밴드에 있을 때 그가 처음 맡으려고 했던 자리였다.[53] 이후 20세의 워싱턴 D.C. 출신 헨리 롤린스가 세션 몇 주 전 밴드의 새로운 리드 싱어로 합류했다.[54]롤린스는 그해 초 디스코드 레코드에서 발매된 EP 《No Policy》를 녹음한 단명 DC 하드코어 펑크 밴드 스테이트 오브 어러트에서 활동하며 이미 녹음 경력이 있었다.[55][56] 이는 스튜디오에서 노래를 부른 적이 없었던 레이예스[53]나 밴드에 합류하기 전까지 노래를 전혀 부른 적이 없었던 카데나[53]와는 대조적이었다.
2. 2. 녹음 과정
블랙 플래그는 키스 모리스, 론 레이예스, 데즈 카데나를 보컬로 하여 정규 음반 녹음을 시도했으나 최소 두 번 취소되었다.[53] 롤린스 합류 전, 레이예스와 함께한 녹음은 《Jealous Again》 EP로, 카데나와 함께한 녹음 중 두 곡은 《Six Pack》 EP와 〈Louie Louie〉/〈Damaged I〉 싱글로 발매되었고, 다른 곡들은 나중에 《Everything Went Black》 더블 음반으로 구성되었다.[53] 녹음 당시 카데나는 리듬 기타로 자리를 옮겼고,[53] 워싱턴 D.C. 출신 헨리 롤린스가 새 리드 싱어로 합류했다.[54] 롤린스는 스테이트 오브 어러트라는 밴드에서 활동하며 《No Policy》 EP를 녹음한 경력이 있었다.[55][56]밴드는 헨리 롤린스 없이 연주곡을 먼저 녹음했고, 롤린스는 그렉 긴(기타)과 척 두카우스키(베이스)의 지도를 받으며 보컬을 나중에 덧입혔다.[54] 가장 까다로운 보컬 트랙은 두카우스키의 〈What I See〉였는데, 롤린스가 즉흥 연설 부분을 만족스럽게 만들지 못해 두카우스키가 직접 썼다. 〈TV Party〉는 밴드 전체가 백 보컬을 담당했다.
음반은 웨스트할리우드의 산타 모니카 블브드에 있는 유니콘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밴드는 녹음 전에 유니콘 스튜디오가 있는 건물의 다른 곳에서 살면서 연습했다.[54]
드러머 로보는 연주할 때 왼쪽 손목에 팔찌를 착용했는데, 특히 스네어 드럼을 칠 때마다 나는 딸랑거리는 소리가 그대로 음반에 담겼다.[54]
2. 3. 유니콘 레코드와의 갈등
MCA 레코드와 연관된 유니콘과의 유통 계약으로 인해 ''Damaged'' 초판 25,000장이 제작되었다.[12] 1981년 9월, MCA의 사장 알 베르가모는 음반의 가사 내용에 반대하며 음반 유통을 거부했다. 베르가모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두 아이의 부모로서, 저는 이것이 좋은 취향을 넘어선 반(反) 부모적인 음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난 주말 내내 그것을 들었는데, 아무런 사회적 가치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라고 말했다.[13][14] 그 후 블랙 플래그 멤버들은 직접 프레스 공장을 방문하여 MCA 로고 위에 "부모로서... 저는 이것이 반(反) 부모적인 음반이라고 생각했습니다"라는 스티커를 붙였다.[7][8][15]SST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조 카르두치는 "반(反) 부모" 발언은 연막이었다고 말했다. 카르두치에 따르면 유니콘 레코드는 관리가 엉망이었고 부채가 심각하여 MCA는 내용에 관계없이 ''Damaged''를 유통하는 데 손실을 입었고, 어떤 핑계를 대서라도 유니콘과의 관계를 끊고 싶어 했다고 한다.[17]
SST와 유니콘은 결국 독립 유통업체를 통해 ''Damaged''를 유통했고,[14] 1981년 11월 말에 매장에 도착했다.[2] 그 결과 유니콘은 블랙 플래그와 SST를 상대로 계약 위반 소송을 제기했다. 블랙 플래그는 자체 이름으로 더 이상 음반을 녹음할 수 없게 되었지만,[8] SST는 자체 발매 일정을 계속 진행했다.[10]
블랙 플래그와 유니콘 간의 법적 분쟁은 거의 2년 동안 밴드를 묶어두었고, 그동안 그들은 롤린스가 합류하기 전의 미공개 곡들을 담은 2장의 앨범 ''Everything Went Black''을 발매했다.[19] 유니콘은 블랙 플래그가 새 음반 발매에 대한 법원 명령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더 많은 법적 서류를 제출했다. 긴과 듀코스키는 법정 모독 혐의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교도소에서 며칠을 보냈지만, 유니콘이 사업을 중단하면서 사건은 곧 흐지부지되었고, 블랙 플래그는 레이블에 대한 추가 의무에서 벗어났다.[7][8][10]
3. 커버 아트
커버 아트는 펑크 사진작가 에드 콜버가 촬영했으며, 롤린스가 주먹으로 거울을 부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효과는 망치로 거울을 깨뜨려 만들었으며, 롤린스의 손목에 묻은 "피"는 붉은 잉크와 커피를 섞은 것이다.[10] 이 사진은 ''아트포럼'' 지면에서 "상징적"이라고 묘사되었다.[11]
4. 곡 목록
Side one | |||
---|---|---|---|
번호 | 곡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1 | Rise Above | 그렉 긴 | 2:26 |
2 | Spray Paint | 척 두카우스키, 그렉 긴 | 0:34 |
3 | Six Pack | 그렉 긴 | 2:20 |
4 | What I See | 척 두카우스키 | 1:56 |
5 | TV Party | 그렉 긴 | 3:31 |
6 | Thirsty and Miserable | 데즈 카데나, 로사 메데아, 로보 | 2:06 |
7 | Police Story | 그렉 긴 | 1:30 |
8 | Gimmie Gimmie Gimmie | 그렉 긴 | 1:47 |
Side two | |||
번호 | 곡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1 | Depression | 그렉 긴 | 2:28 |
2 | Room 13 | 그렉 긴, 메데아 | 2:04 |
3 | Damaged II | 그렉 긴 | 3:23 |
4 | No More | 척 두카우스키 | 2:25 |
5 | Padded Cell | 척 두카우스키, 그렉 긴 | 1:47 |
6 | Life of Pain | 그렉 긴 | 2:50 |
7 | Damaged I | 그렉 긴, 헨리 롤린스 | 3:50 |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은 그렉 긴이 작곡했다.
4. 1. Side One
Side one영어의 첫 번째 곡은 〈Rise Above〉로, 2분 26초 길이이다. 이어서 〈Spray Paint〉는 척 두카우스키와 그렉 긴이 함께 작곡했으며, 길이는 0분 34초이다. 세 번째 곡은 〈Six Pack〉으로 2분 20초 동안 재생된다. 네 번째 곡 〈What I See〉는 척 두카우스키가 작곡했으며, 길이는 1분 56초이다. 다섯 번째 곡은 〈TV Party〉로 3분 31초 길이이다. 여섯 번째 곡 〈Thirsty and Miserable〉는 데즈 카데나, 로사 메데아, 로보가 작곡했으며, 길이는 2분 6초이다. 일곱 번째 곡 〈Police Story〉는 1분 30초, 마지막 여덟 번째 곡 〈Gimmie Gimmie Gimmie〉는 1분 47초 길이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렉 긴이 모든 곡을 작곡했다.번호 | 곡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Rise Above | 그렉 긴 | 2:26 |
2 | Spray Paint | 척 두카우스키, 그렉 긴 | 0:34 |
3 | Six Pack | 그렉 긴 | 2:20 |
4 | What I See | 척 두카우스키 | 1:56 |
5 | TV Party | 그렉 긴 | 3:31 |
6 | Thirsty and Miserable | 데즈 카데나, 로사 메데아, 로보 | 2:06 |
7 | Police Story | 그렉 긴 | 1:30 |
8 | Gimmie Gimmie Gimmie | 그렉 긴 | 1:47 |
4. 2. Side Two
Side Two는 "Depression"으로 시작한다. 이 곡은 그렉 긴이 작곡했으며 재생 시간은 2분 28초이다. 다음 곡 "Room 13"은 긴과 메데아가 공동 작곡했으며, 2분 4초 길이이다. "Damaged II"는 긴이 작곡한 곡으로 3분 23초 동안 재생된다. "No More"는 척 두카우스키의 곡이며, 길이는 2분 25초이다. "Padded Cell"은 두카우스키와 긴이 함께 작곡했고 1분 47초 길이이다. "Life of Pain"은 긴이 작곡했으며 2분 50초이다. Side Two의 마지막 곡 "Damaged I"는 긴과 헨리 롤린스가 공동 작곡했으며, 3분 50초로 Side Two에서 가장 길다.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Depression" | 그렉 긴 | 2:28 |
"Room 13" | 긴, 메데아 | 2:04 |
"Damaged II" | 긴 | 3:23 |
"No More" | 척 두카우스키 | 2:25 |
"Padded Cell" | 두카우스키, 긴 | 1:47 |
"Life of Pain" | 긴 | 2:50 |
"Damaged I" | 긴, 헨리 롤린스 | 3:50 |
5. 미공개 및 다른 버전
''Damaged'' 앨범 세션에서는 "Rise Above"와 "Damaged I"의 미발매 버전과 다른 테이크들이 녹음되었다. 헨리 롤린스는 자신의 라디오 쇼 블로그를 통해 "What I See"의 다른 버전과 "기억나지 않는 적어도 한 곡" 역시 ''Damaged'' 세션에서 녹음되었으며, 블랙 플래그의 다른 앨범들에도 여러 아웃테이크가 존재한다고 밝혔다.[20]
"Depression"의 다른 버전은 "Rise Above" 싱글의 B 사이드 곡으로 녹음되었다.[7]
5. 1. "Louie Louie"
블랙 플래그는 ''Damaged'' 앨범 세션에서 "루이 루이" 버전을 녹음했다. 롤린스는 그의 책 ''Get in the Van''에서 이 버전이 "테이프가 다 떨어질 때까지 이상한 잼 세션"으로 끝났다고 언급했다. 이 버전은 어떤 형태로든 믹스 다운되지 않았으며,[7] 2006년 7월 기준으로, 이 아웃테이크의 마스터 테이프가 여전히 존재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7]5. 2. 데즈 카데나 보컬 버전
블랙 플래그의 엔지니어이자 라이브 사운드 담당자인 스폿에 따르면, 데즈 카데나가 보컬을 맡아 골든 에이지 스튜디오에서 ''Damaged''의 거의 완전한 버전이 녹음되었다.[7] 이 세션에서 ''Six Pack'' EP의 트랙이 나왔다. 이 녹음 세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공식 버전은 한 번도 발매된 적이 없지만, 무허가 복사본이 수년간 테이프 거래 서클에서 유통되었다. 미발매된 데즈 카데나 세션과 발매된 LP를 비교해 보면, 카데나 세션의 보컬 리듬과 프레젠테이션이 최종 앨범을 녹음하기 전에 밴드에서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6. 평가 및 유산
''Damaged''는 발매 초기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펑크 록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반으로 자리 잡았다. 여러 매체와 비평가들은 ''Damaged''를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꼽으며, 펑크 록의 고전으로 평가하고 있다.
매체 | 목록 | 순위 |
---|---|---|
롤링 스톤 |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3][4] | 340 |
피치포크 | 198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5] | 25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 |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34] | - |
커트 코베인은 이 앨범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 50선에 포함시켰다.[32][33] 또한, 남부 캘리포니아의 펑크 록 밴드 페니와이즈는 "Gimmie Gimmie Gimmie"를 라이브로 커버하기도 했다.[35]
6. 1. 비평가들의 평가
Damaged영어는 발매 당시 일반 언론의 주목을 많이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역대 가장 중요한 하드코어 펑크 앨범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3]롤링 스톤은 회고적 리뷰에서 "블랙 플래그는 그에 걸맞게 폭력적인 기타와 헨리 롤린스의 짜증 섞인 비명으로 L.A. 하드코어 펑크를 정의했으며, 특히 "TV Party"와 "Rise Above"에서 그러했다. 펑크들은 여전히 Damaged영어를 듣고, 부모들은 여전히 싫어한다."라고 평가했다.[3] 피치포크는 2002년 리뷰에서 "블랙 플래그는 폭발 직전의 남자들의 본질적인 맹렬함을 가져왔고, 그것을 산뜻한 유머 감각과 '노래'라고 불리는 것들과 결합했는데, 당시 많은 펑크 지망생들은 여전히 그것을 정리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Rise Above'를 듣고 분노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TV Party'를 듣고 소리 내어 웃지 않으려 노력하라. 그건 굉장하다."라고 호평했다.[5] 올뮤직의 존 도우간은 이 앨범에 별 다섯 개 만점을 주며, 헨리 롤린스의 합류가 밴드를 위대하게 만든 마지막 조각이었다고 평가하며, 일반적인 펑크 개념을 다루면서도 프로슬래커 풍자 'TV Party' 등 훌륭한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고 언급했다.[21]
로버트 크리스가우는 1982년 빌리지 보이스 리뷰에서 "B면은 의도했던 것보다 더 고통스럽게 끌리지만, 강력한 작품이다. 그렉 긴은 조니 선더스 이후 최고의 노이즈 기타리스트이고, 새로운 보컬리스트 헨리 롤린스는 그들이 제공하는 어떤 고통스러운 윤곽에도 맞춰 으르렁거릴 수 있으며, 'Rise Above', 'Six Pack', 그리고 아주 재미있는 'TV Party'는 그들이 단편들을 갉아먹는 것만큼 곡을 잘 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라고 평가했다.[31]
Damaged영어는 ''롤링 스톤''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340위에 올랐으며,[3][4] ''피치포크''의 "198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에서 25위에 선정되었다.[5] 또한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도 포함되었다.[34] 커트 코베인은 이 앨범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 50선에 포함시켰다.[32][33]
6. 2. 펑크 록에 미친 영향
''Damaged''는 처음 발매 당시에는 대중적인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하드코어 펑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3]롤링 스톤은 ''Damaged''를 "L.A. 하드코어 펑크를 정의"한 앨범으로 평가하며, 특히 "TV Party"와 "Rise Above"를 언급했다. 또한, 펑크 팬들은 여전히 ''Damaged''를 즐겨 듣는다고 덧붙였다.[3] 피치포크는 ''Damaged''가 "폭발 직전의 남자들의 본질적인 맹렬함"을 담고 있으며, "산뜻한 유머 감각"과 "노래"라고 불리는 요소들을 결합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 앨범이 웨스트 코스트 하드코어 장르의 핵심적인 시금석이라고 언급하며, "Rise Above"와 "TV Party"의 가치를 강조했다.[5] 올뮤직의 존 도우간은 ''Damaged''에 별 다섯 개 만점을 부여하며, 헨리 롤린스의 보컬과 그렉 긴의 곡이 밴드를 위대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Damaged''가 발매 당시 논란이 많았지만, "그 시대의 중요한 문서"로 남아있다고 언급했다.[21]
커트 코베인은 ''Damaged''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앨범 50선 중 하나로 꼽았다.[32][33] ''Damaged''는 펑크 록의 고전으로 인정받으며 여러 매체와 비평가들의 "최고의"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340위,[3][4] 피치포크의 "1980년대 최고의 앨범 100선"에서 25위에 올랐다.[5] 또한,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도 포함되었다.[34]
남부 캘리포니아의 펑크 록 밴드 페니와이즈는 "Gimmie Gimmie Gimmie"를 라이브로 커버하기도 했다.[35]
7. 발매 버전
로드러너의 RoadRacer 레이블에서 1982년에 발매된 유럽판은 사이드 1에 수록된 앨범 버전 대신 TV Party의 싱글 버전을, 사이드 2의 마지막 트랙에는 데즈 카데나가 이끄는 "Louie Louie" 싱글 버전을 추가했다.[36] ''Damaged''의 초기 CD 재발매반에는 ''Jealous Again'' EP가 추가되었으나,[19][37] 그 이후의 모든 버전에는 오리지널 앨범만 수록되었다.
7. 1. 로드러너 레코드 유럽판
로드러너 레코드의 RoadRacer 레이블에서 1982년에 발매된 유럽판은 사이드 1에 수록된 앨범 버전 대신 TV Party의 싱글 버전을, 사이드 2의 마지막 트랙에는 데즈 카데나가 이끄는 "Louie Louie" 싱글 버전을 추가했다.[36]7. 2. 초기 CD 재발매반
''Damaged''의 초기 CD 재발매반에는 ''Jealous Again'' EP가 추가되었다.[19][37] 그 이후의 모든 버전에는 오리지널 앨범만 수록되었다.참조
[1]
서적
History of Rock and Roll
Kendall Hunt
[2]
간행물
Black Flag's LP - A Good Taste of Punk's Drama
https://www.newspape[...]
1981-11-21
[3]
간행물
The RS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Wenner Media
2011-03-06
[4]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09
[5]
웹사이트
Pitchfork Media review
http://pitchfork.com[...]
2017-09-07
[6]
문서
Spot with Chuck Dukowski, Liner notes of Everything Went Black
SST Records
[7]
문서
Get in the Van: On the Road with Black Flag
2.13.61 Publications
[8]
문서
Our Band Could Be Your Life
Little Brown
[9]
문서
Unwanted Songs 1981–1991
2.13.61 Publications
[10]
문서
Henry Rollins: Turned On
Orion Books
[11]
간행물
"'Quiet Politics'"
2008-11
[12]
간행물
L.A. Dee Da
https://www.newspape[...]
1981-10-09
[13]
간행물
MCA Sees Red Over Black Flag
https://www.newspape[...]
1981-09-27
[14]
서적
Corporate Rock Sucks: The Rise and Fall of SST Records
Hachette Book Group
[15]
문서
sticker applied to back cover of original pressing of Damaged
SST Records/Unicorn Records
[16]
간행물
Black Flag Feud Just Warming Up
https://www.newspape[...]
1981-11-22
[17]
문서
Rock and the Pop Narcotic
2.13.61 Publications
[18]
문서
Broken Summers
2.13.61 Publications
[19]
웹사이트
Black Flag entry
http://www.trouserpr[...]
[20]
웹사이트
HarmonyInMyHead.com
http://www.harmonyin[...]
2006-06-14
[21]
웹사이트
Damaged – Black Flag
http://www.allmusic.[...]
AllMusic
2012-08-14
[22]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Pantheon Books
2020-08-17
[23]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24]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Canongate Books
[25]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Visible Ink Press
[26]
웹사이트
Black Flag
http://www.music-sto[...]
2024-07-23
[27]
웹사이트
Black Flag: Damaged
http://pitchfork.com[...]
2017-04-16
[28]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9]
웹사이트
Black Flag: Damaged (SST Import)
https://www.rocksbac[...]
2021-03-16
[30]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31]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012-08-14
[32]
웹사이트
Top 50 by Nirvana [MIXTAPE]
http://www.joyfulnoi[...]
2013-05-08
[33]
서적
Nirvana: The Complete Illustrated History
Voyageur Press
[34]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Universe Publishing
[35]
웹사이트
Pennywise at Punk in the Park 2023 Setlist
https://www.setlist.[...]
2024-02-07
[36]
문서
Liner notes of European release of ''Damaged''
RoadRacer/Roadrunner Records
1982
[37]
문서
SST Records mail order catalog
1990
[38]
웹사이트
Black Flag - Damaged credits
https://www.allmusic[...]
Rovi Corporation
2019-01-04
[39]
서적
History of Rock and Roll
Kendall Hunt
[40]
웹인용
Damaged – Black Flag
http://www.allmusic.[...]
AllMusic
2012-08-14
[41]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Pantheon Books
2020-08-17
[42]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43]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https://archive.org/[...]
Canongate Books
[44]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Visible Ink Press
[45]
웹인용
Black Flag: Damaged
http://pitchfork.com[...]
2017-04-16
[46]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47]
웹인용
Black Flag: Damaged (SST Import)
https://www.rocksbac[...]
1982-01-30
[48]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49]
Calendar
Black Flag's LP - A Good Taste of Punk's Drama
https://www.newspape[...]
1981-11-21
[50]
잡지
The RS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Wenner Media
2003-11-18
[51]
웹인용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09
[52]
웹인용
Pitchfork Media review
http://pitchfork.com[...]
2017-09-07
[53]
문서
Spot with Chuck Dukowski, Liner notes of ''Everything Went Black''
SST Records
1983
[54]
서적
Get in the Van: On the Road with Black Flag
2.13.61 Publications
[55]
서적
Our Band Could Be Your Life
Little Brown
[56]
서적
Unwanted Songs 1981–1991
2.13.61 Publications
[57]
서적
Henry Rollins: Turned On
Orion Books
[58]
간행물
"'Quiet Politics'"
20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